수출 9.3%·수입 16.1% 감소
1분기 흑자규모도 역대최대
전형적인 '불황형 구조' 우려


경상수지가 49개월째 역대 최장기간 흑자를 이어갔다.

3일 한국은행(이하 한은)이 내놓은 '2016년 3월 국제수지'(잠정치)를 보면 지난 3월 경상수지 흑자는 100억9000만달러로 집계됐다. 2012년 3월 이후 49개월째 흑자가 이어져 최장 흑자 기록을 다시 썼다. 흑자 규모도 지난해 9월(108억5000만달러 흑자) 이후 가장 컸다.

상품수지 흑자액이 2월 75억4000만달러에서 3월 124억5000만달러로 늘어난 것이 경상수지 흑자 확대에 이바지했다.

상품수출이 445억4000만달러로 1년 전보다 9.3% 줄었고, 상품수입이 321억달러로 1년 전보다 16.1% 줄었다. 대내외 경기 부진으로 수입이 수출보다 더 감소하면서 '불황형 흑자'라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분기 기준으로는 1분기 경상수지 흑자가 240억8000만달러로, 1980년 통계 편제 이후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

전승철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한은 조사국은 올해 국제수지가 지난해보다 100억달러 줄어든 960억달러 정도 될 것으로 전망했는데 1분기 수치만 보면 지난해보다 늘어난 것"이라며 "앞으로 경상수지 흑자가 어떻게 될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3월 품목별 수출실적(통관기준)을 보면 석유제품(-39.7%), 디스플레이패널(-32.8%), 선박(-28.8%), 가전제품(-14.6%)과 같은 주력 수출제품의 수출액이 1년 전보다 크게 줄었다.

지역별로는 유럽연합(12.7%)을 제외한 중남미(-32.5%), 중동(-32.5%), 중국(-12.3%), 미국(-3.7%) 등 대부분 지역에서 수출이 1년 전보다 감소했다.

증권투자에서는 외국인 국내투자가 2월 32억6000만달러 감소에서 3월 34억달러 증가로 전환했다. 외국인 국내투자는 지난해 6월 이후 9개월간 꾸준히 감소해왔다. 내국인의 해외 증권투자도 2월(29억4000만달러)보다 3배가량 늘어난 92억7000만달러 증가를 나타냈다.

전 국장은 "기본적으로 해외 주가가 그동안 상당히 크게 상승하면서 국제 금융 시장 여건이 개선된 것으로 보인다"며 "채권의 경우 국내 저금리로 보험사 등을 중심으로 수요가 꾸준히 늘었고, 비과세 해외 주식형 펀드가 출시된 것도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자본 유출입을 나타내는 금융계정의 순자산(자산-부채)은 129억1000만달러 증가했다.

문혜원기자 hmoon3@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