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자의 결혼 가능성은 남성의 경우 미취업자의 5배, 여성의 경우 2배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일 한국경제연구원은 '취업이 결혼에 미치는 영향과 노동시장 개혁에 대한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번 조사는 한국노동패널조사의 15세부터 49세 사이의 가임 연령층과 15세부터 29세 사이의 청년층 남녀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한경연이 가임 연령기에 있는 15세부터 49세 사이의 남녀를 대상으로 취업이 결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남성의 경우 취업자의 결혼 가능성은 미취업자의 약 4.9배, 여성의 경우 약 2.1배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남녀 모두 미취업 기간이 장기화 될 수록 초혼 연령도 늦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미취업 기간이 1년 늘어나면 초혼 연령은 약 4.6개월, 여성의 경우 1.9개월 늦어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15세부터 29세 청년층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서도 취업에 성공할 경우 결혼 가능성은 남성은 미취업 보다 약 3.5배, 여성의 경우 약 1.5배 높았다. 또 남성의 경우 미취업기간이 다른 사람보다 1년 늘어나면 초혼 연령은 약 3개월 늦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한경연은 취업과 만혼 문제를 완화하고,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려면 노동시장 개혁을 통한 일자리 창출이 우선시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진성 연구위원은 "올해 2월 청년층의 공식 실업률은 12.5%, 체감실업률이 23.4%인 점을 감안할 경우 청년 실업은 저출산 문제 해결에서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며 "현재 국회에 계류돼 있는 노동개혁 관련 5대 법안은 19대 국회 임기 내에 처리돼야 하며 대체근로제와 같은 추가적인 노동시장개혁 방안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