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마트는 최근 3년간 과일 매출을 살펴본 결과, 체리 매출 구성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1일 밝혔다.
회사가 사과, 배 등 명절 과일 선물세트 매출을 전부 합산한 결과, 전체 과일 매출 중 체리의 매출 구성비는 지난해 4.0%로 9위를 차지해 처음으로 10위권 내에 진입했다. 체리는 2013년 14위(2.3%), 2014년 11위(3.5%), 지난해 9위(4.0%)로 매년 순위와 매출 구성비가 함께 오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5월 롯데마트 과일 매출 순위에서 체리는 1위인 수박 다음으로 2위를 차지했으며, 바나나 매출도 제쳤다.
롯데마트 관계자는 "체리가 예전에 비해 가격도 낮아지고 유통업체의 체리 수입국이 다변화되면서 연중 만날 수 있는 과일이 됐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과일음료와 빙수 등 체리를 활용한 다양한 디저트가 개발된 것도 요인으로 꼽힌다. 그동안 국내에 유통되던 체리 물량은 대부분 미국산으로 여름철인 5~8월에만 접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로 관세 24%가 철폐되면서 가격 인하 요인이 발생해 수입량과 소비가 함께 늘어났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체리가 대중화되기 시작하면서 유통업체들도 호주, 뉴질랜드 등 남반구 지역의 체리를 겨울철에 함께 취급하고 있으며, 충북 청주 등 국내에서도 국산 체리 재배가 활성화되고 있다.
신경환 롯데마트 과일팀장은 "체리는 연간 과일 매출 순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이며, 지난해 망고도 처음으로 15위에 이름을 올렸다"며, "예전에 보기 어려웠던 수입 과일이 다양한 디저트 형태로 소비되며 대중화되는 추세"라고 말했다.
한편, 롯데마트는 지난달 30일 올해 첫 출하된 미국산 체리 판매를 시작했으며 이달 11일까지 1팩(450g)을 9900원에 판매한다.
박민영기자 ironlung@dt.co.kr
회사가 사과, 배 등 명절 과일 선물세트 매출을 전부 합산한 결과, 전체 과일 매출 중 체리의 매출 구성비는 지난해 4.0%로 9위를 차지해 처음으로 10위권 내에 진입했다. 체리는 2013년 14위(2.3%), 2014년 11위(3.5%), 지난해 9위(4.0%)로 매년 순위와 매출 구성비가 함께 오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5월 롯데마트 과일 매출 순위에서 체리는 1위인 수박 다음으로 2위를 차지했으며, 바나나 매출도 제쳤다.
롯데마트 관계자는 "체리가 예전에 비해 가격도 낮아지고 유통업체의 체리 수입국이 다변화되면서 연중 만날 수 있는 과일이 됐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과일음료와 빙수 등 체리를 활용한 다양한 디저트가 개발된 것도 요인으로 꼽힌다. 그동안 국내에 유통되던 체리 물량은 대부분 미국산으로 여름철인 5~8월에만 접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로 관세 24%가 철폐되면서 가격 인하 요인이 발생해 수입량과 소비가 함께 늘어났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체리가 대중화되기 시작하면서 유통업체들도 호주, 뉴질랜드 등 남반구 지역의 체리를 겨울철에 함께 취급하고 있으며, 충북 청주 등 국내에서도 국산 체리 재배가 활성화되고 있다.
신경환 롯데마트 과일팀장은 "체리는 연간 과일 매출 순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이며, 지난해 망고도 처음으로 15위에 이름을 올렸다"며, "예전에 보기 어려웠던 수입 과일이 다양한 디저트 형태로 소비되며 대중화되는 추세"라고 말했다.
한편, 롯데마트는 지난달 30일 올해 첫 출하된 미국산 체리 판매를 시작했으며 이달 11일까지 1팩(450g)을 9900원에 판매한다.
박민영기자 ironlung@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