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기의 공간·디자인적 어려움 해소 위해
오는 7월부터 스마트폰과 태블릿 PC의 전기용품안전인증(KC) 표시를 제품 표면 외에도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들 기기의 소형화에 따라 공간적, 디자인적 어려움을 해소하려는 조치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전자적 인증표시 제도를 7월부터 시행한다고 1일 밝혔다.
안전관리 대상 전기용품은 제품 및 포장에 KC 마크, 인증번호 등 7개 사항의 인증표시를 의무화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정보통신기술(ICT) 기기의 소형화로 인해 인증 내용을 제품에 표시하는 어려움이 있어 전자적 인증표시 제도를 도입하기로 했다. 또 미국, 일본 등 다수 국가에서도 전자적 인증표시 제도를 운영 중이며 중국, 대만도 이 제도를 도입하기로 하는 등 전자적 인증표시 제도는 세계적 추세다. 이 제도 도입으로 관련 제조사는 제품 표면에 인쇄, 각인 등의 방법이나 디스플레이를 통해 인증표시를 할 수 있게 됐다.
국표원은 오사용 가능성이 낮아 상대적으로 안전한 제품군으로 분류되는 스마트폰과 태블릿 PC에 대해서 시범 적용한 뒤 노트북 등으로의 확대를 검토할 계획이다. 국표원은 제도 도입 입안예고 기간 중 관련 업계, 소비자 단체가 참여하는 설명회를 통해 추가 의견을 수렴한 뒤 7월부터 이 제도를 시행할 방침이다.
박병립기자 riby@dt.co.kr
오는 7월부터 스마트폰과 태블릿 PC의 전기용품안전인증(KC) 표시를 제품 표면 외에도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들 기기의 소형화에 따라 공간적, 디자인적 어려움을 해소하려는 조치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전자적 인증표시 제도를 7월부터 시행한다고 1일 밝혔다.
안전관리 대상 전기용품은 제품 및 포장에 KC 마크, 인증번호 등 7개 사항의 인증표시를 의무화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정보통신기술(ICT) 기기의 소형화로 인해 인증 내용을 제품에 표시하는 어려움이 있어 전자적 인증표시 제도를 도입하기로 했다. 또 미국, 일본 등 다수 국가에서도 전자적 인증표시 제도를 운영 중이며 중국, 대만도 이 제도를 도입하기로 하는 등 전자적 인증표시 제도는 세계적 추세다. 이 제도 도입으로 관련 제조사는 제품 표면에 인쇄, 각인 등의 방법이나 디스플레이를 통해 인증표시를 할 수 있게 됐다.
국표원은 오사용 가능성이 낮아 상대적으로 안전한 제품군으로 분류되는 스마트폰과 태블릿 PC에 대해서 시범 적용한 뒤 노트북 등으로의 확대를 검토할 계획이다. 국표원은 제도 도입 입안예고 기간 중 관련 업계, 소비자 단체가 참여하는 설명회를 통해 추가 의견을 수렴한 뒤 7월부터 이 제도를 시행할 방침이다.
박병립기자 riby@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