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CR 비율 413%서 337%로 하락
BNK투증 등 4곳 250%미만 낮아져
100%미만 '경영개선 권고' 비상
업계 사업구조조정·자본확충 박차
신 영업용순자본비율(NCR)의 규제에 따라 중소형 증권·선물사들이 사업 구조조정과 자본 확충에 잇따라 나서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이로 인해 중소형 증권·선물사들의 영업이 제한되고 수익성도 더 악화되는 악순환이 되풀이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다음 달 말께 전체 증권·선물사의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실적으로 산정한 신 NCR을 발표한다. 지난해 9개 증권사와 1개 선물사가 조기 도입한 이 제도를 올해부터는 전체 증권·선물사에 적용해 분기마다 발표하는 것이다.
신 NCR 적용으로 가장 긴장하고 있는 곳은 중소형 증권·선물사다. 옛 NCR은 영업용순자본을 총위험액으로 나눠 계산했지만 신 NCR은 '영업용순자본-총위험액/인가업무 단위별 필요 유지 자기자본'으로 계산한다. 분모인 인가업무 단위별 필요 자본이 고정돼 있어 영업용순자본의 규모가 큰 대형사일수록 유리하다. 반대로 영업용순자본의 규모가 작은 중소형사의 경우 NCR 비율이 낮게 산출되기 때문에 과거에 비해 자본활용 여력이 현저히 떨어진다.
실제 나이스(NICE)신용평가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기준 자기자본 1조원 미만 증권사에 신 NCR을 적용하면 기존 413.2%에서 337.6%로 하락한다. 특히 BNK투자증권, 유진투자증권, 동부증권, SK증권은 250% 미만으로 낮아져 자본 활용여력이 현저히 떨어진다. NCR이 100% 밑으로 떨어지면 금융당국은 '경영개선 권고'를 하게 된다. 다시 50%, 0% 미만이 되면 각각 '경영개선 요구'와 '경영개선 명령'을 한다.
이에 자체 산정을 통해 기준에 미달하는 것을 확인한 중소형 증권·선물사들은 사업 구조조정에 돌입하고 있다. 현재 관련 규정에 따라 증권·선물사들은 신 NCR 기준 미충족 시 금감원에 즉시 보고를 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금감원은 이를 포함한 사전 모니터링을 통해 적기 시정조치를 하고 있다. 토러스투자증권과 KR선물이 첫 대상이 됐다. 이들은 사업 범위를 축소하면서 신 NCR을 높이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영업용순자본을 늘리는 증자가 여의치 않자 NCR 산정 때 분모가 되는 인가업무 단위별 필요 자본을 줄인 것이다. 지난 14일 금융위원회는 KR선물이 지난 3월 투자매매업 라이선스를 반납키로 결정한데 따라 투자매매업 전부의 폐지 건을 승인했다. 이보다 앞서 토러스투자증권은 지난해 말 투자자문업과 투자일임업 라이선스를 반납한 데 이어 최근에는 장내 파생상품 투자매매업까지 반납키로 했다.
자본확충 움직임도 일고 있다. 지난 3월 동부증권은 총 800억규모 후순위채 발행을 마쳤다. 지난달 25일 계열사인 동부화재해상보험을 대상으로 후순위채 280억원을 발행했다. 6년만기로 이율은 5.1%다. 나머지 520억원은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발행했다. SK증권 역시 이달 후순위채를 발행하기로 결정했다. 최근 SK증권 이사회는 최대 700억원 한도의 후순위채를 발행하기로 결의했다. 지난해 7월 200억원 규모의 후순위채를 발행한 이후 1년도 안돼 또다른 후순위채 발행을 결정한 것이다. 주요 모니터링 대상인 BNK증권과 유진투자증권의 경우 아직 별도의 조치를 하지는 않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우려도 제기된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후순위채 발행 증권사의 경우 향후 수익성 개선이 중요한데 하반기에 간다고 해서 뾰족한 대안이 있는 것은 아닌 상황"이라며 "또 라이선스 반납으로 당장 신 NCR 비율을 맞출 수는 있겠지만, 사업영역이 줄면서 수익성은 더욱 악화되는 악순환의 굴레에 빠지게 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김유정기자 clickyj@dt.co.kr
BNK투증 등 4곳 250%미만 낮아져
100%미만 '경영개선 권고' 비상
업계 사업구조조정·자본확충 박차
신 영업용순자본비율(NCR)의 규제에 따라 중소형 증권·선물사들이 사업 구조조정과 자본 확충에 잇따라 나서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이로 인해 중소형 증권·선물사들의 영업이 제한되고 수익성도 더 악화되는 악순환이 되풀이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다음 달 말께 전체 증권·선물사의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실적으로 산정한 신 NCR을 발표한다. 지난해 9개 증권사와 1개 선물사가 조기 도입한 이 제도를 올해부터는 전체 증권·선물사에 적용해 분기마다 발표하는 것이다.
신 NCR 적용으로 가장 긴장하고 있는 곳은 중소형 증권·선물사다. 옛 NCR은 영업용순자본을 총위험액으로 나눠 계산했지만 신 NCR은 '영업용순자본-총위험액/인가업무 단위별 필요 유지 자기자본'으로 계산한다. 분모인 인가업무 단위별 필요 자본이 고정돼 있어 영업용순자본의 규모가 큰 대형사일수록 유리하다. 반대로 영업용순자본의 규모가 작은 중소형사의 경우 NCR 비율이 낮게 산출되기 때문에 과거에 비해 자본활용 여력이 현저히 떨어진다.
실제 나이스(NICE)신용평가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기준 자기자본 1조원 미만 증권사에 신 NCR을 적용하면 기존 413.2%에서 337.6%로 하락한다. 특히 BNK투자증권, 유진투자증권, 동부증권, SK증권은 250% 미만으로 낮아져 자본 활용여력이 현저히 떨어진다. NCR이 100% 밑으로 떨어지면 금융당국은 '경영개선 권고'를 하게 된다. 다시 50%, 0% 미만이 되면 각각 '경영개선 요구'와 '경영개선 명령'을 한다.
이에 자체 산정을 통해 기준에 미달하는 것을 확인한 중소형 증권·선물사들은 사업 구조조정에 돌입하고 있다. 현재 관련 규정에 따라 증권·선물사들은 신 NCR 기준 미충족 시 금감원에 즉시 보고를 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금감원은 이를 포함한 사전 모니터링을 통해 적기 시정조치를 하고 있다. 토러스투자증권과 KR선물이 첫 대상이 됐다. 이들은 사업 범위를 축소하면서 신 NCR을 높이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영업용순자본을 늘리는 증자가 여의치 않자 NCR 산정 때 분모가 되는 인가업무 단위별 필요 자본을 줄인 것이다. 지난 14일 금융위원회는 KR선물이 지난 3월 투자매매업 라이선스를 반납키로 결정한데 따라 투자매매업 전부의 폐지 건을 승인했다. 이보다 앞서 토러스투자증권은 지난해 말 투자자문업과 투자일임업 라이선스를 반납한 데 이어 최근에는 장내 파생상품 투자매매업까지 반납키로 했다.
자본확충 움직임도 일고 있다. 지난 3월 동부증권은 총 800억규모 후순위채 발행을 마쳤다. 지난달 25일 계열사인 동부화재해상보험을 대상으로 후순위채 280억원을 발행했다. 6년만기로 이율은 5.1%다. 나머지 520억원은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발행했다. SK증권 역시 이달 후순위채를 발행하기로 결정했다. 최근 SK증권 이사회는 최대 700억원 한도의 후순위채를 발행하기로 결의했다. 지난해 7월 200억원 규모의 후순위채를 발행한 이후 1년도 안돼 또다른 후순위채 발행을 결정한 것이다. 주요 모니터링 대상인 BNK증권과 유진투자증권의 경우 아직 별도의 조치를 하지는 않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우려도 제기된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후순위채 발행 증권사의 경우 향후 수익성 개선이 중요한데 하반기에 간다고 해서 뾰족한 대안이 있는 것은 아닌 상황"이라며 "또 라이선스 반납으로 당장 신 NCR 비율을 맞출 수는 있겠지만, 사업영역이 줄면서 수익성은 더욱 악화되는 악순환의 굴레에 빠지게 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김유정기자 clickyj@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