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금리가 -0.0562%…부동산 값 급등에 금융안정성 '불안불안'
은행에서 주택대출을 받고도 이자를 갚기는커녕 오히려 이자를 받는 비상식적인 상황이 일상화되고 있는 나라가 있다.

마이너스 금리의 원조 격인 덴마크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이다. 덴마크 중앙은행은 2012년 중반 세계 최초로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도입했다.

덴마크 북부 도시 알보르크에 거주하는 금융컨설턴트 한스 페터 크리스텐센(35)는 은행으로부터 분기마다 주택대출분에 대한 이자 249크로네(약 38달러)를 받고 있다.

그는 2005년 170만 크로네(26만1천달러)를 빌렸고 그후 기준금리가 떨어질 때마다 대출 금리도 재조정했다. 그의 모기지 금리는 지난해 여름 마이너스권에 진입했고 현재는 마이너스 0.0562%다.

덴마크가 마이너스 금리를 도입한 지 근 4년이 됐지만 대출자는 물론 은행도 이처럼 낯선 상황에 여전히 당혹해 하고 있다. 덴마크 중앙은행의 기준 금리는 계속 하락해 현재 마이너스 0.65%를 가리키고 있다.

마이너스 금리는 유로화가 하락하자 유로존과의 무역을 감안, 덴마크의 크로네화 가치를 이에 맞춰 떨어뜨리려는 의도에서 이뤄진 것이다.

인접국인 스웨덴 중앙은행도 지난해 2월 크로나화 가치를 떨어뜨려 국내 물가를 올리려는 목적으로 마이너스 금리를 도입했고, 노르웨이도 마이너스 금리 카드를 만지작거리는 상황이다.

신용평가기관인 무디스는 크로네화에 대한 절상 압력이 완전히 실종됐다고 평가해 덴마크 중앙은행은 소기의 목표를 달성한 셈이다. 스웨덴 중앙은행은 수입물가 상승을 통해 인플레이션율을 2%로 높이려고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했다.

북유럽 국가들이 오랫동안 금리에 관한 한 불가침의 영역이던 마이너스 금리를 실험하면서 이코노미스트들에겐 좋은 연구 재료가 생긴 셈이다.

물론 우려한 대로 마이너스 금리의 부작용은 가시화되고 있다.

개인이 은행에 예금을 맡겨도 아무런 이자가 발생하지 않자 투자 대안을 찾아 부동산 시장으로 몰리고 있다. 은행들은 개인에게 마이너스 금리의 부담을 전가할 수 없어 수익성에 압박을 받고 있다.





주택대출분에 대해 오히려 이자를 받고 있는 크리스텐센의 사례는 주택보유자들에게는 부러움의 대상이다. 그는 2013년 3명의 투자자들과 돈을 모아 10채의 아파트를 사들였다.

투자액은 970만 크로네였고 이 가운데 800만 크로네는 은행에서 빌렸다. 당시 대출금리는 마이너스권에 떨어지기 전이었으나 매력적일 만큼 낮은 수준이었다는 것이다.

이런 투자자들이 몰려든 덕분에 그가 사는 알보르크의 주택 시장은 달아오르고 있다. 수도인 코펜하겐의 아파트 가격은 지난해 4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14.5%가 치솟았다.

스웨덴의 수도 스톡홀름의 아파트 가격은 2014년 10%, 지난해에는 17%가 뛰었다.

덴마크와 스웨덴 중앙은행은 너무 많은 자금이 부동산 시장에 몰려든다면 금융안정성이 취약해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만일 금리가 상승세로 전환하거나 부동산 가격이 떨어진다면 대출금을 상환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스웨덴 가계 부문의 가처분 소득 대비 부채비율은 1990년대 중반에는 90% 정도였으나 현재는 175%에 이른다. 스웨덴은 1992년 부동산 거품이 터지면서 몇몇 대형은행들이 파산 직전까지 가는 위기를 경험한 바 있다.

두 나라 중앙은행은 마이너스 금리 환경에서 은행들이 돈을 벌기도 힘들어졌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은행들이 중앙은행에 맡기는 자금에 대해 이자를 받는 대신 수수료를 물어야 하기 때문이다.

덴마크 은행업계 단체에 따르면 시중은행들은 중앙은행에 자금을 맡기는 대가로 지난해 10억 크로네 이상의 비용을 물어야 했다.

덴마크와 스웨덴 은행들은 일부 기업 고객들이 맡기는 예금에는 이자를 물리고 있다. 하지만 예금 인출 사태가 벌어질 것을 우려해 개인 예금에는 손을 대지 못하고 있다. 예금이 대량 인출되면 운용 자금이 말라버리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