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이 빅데이터 활용을 확대하고 있지만, 이를 수행할 빅데이터 관련 연구용역사업자를 구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공공기관이 발주하는 빅데이터 관련 사업의 경우 입찰업체가 적거나 단독 응찰 또는 무응찰로 유찰이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빅데이터를 행정업무나 대민서비스에 활용하고 있는 기관은 서울시, 경기도 등이 상권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 식품의약품안전처, 기상청, 국립환경과학원, 국민건강보험공단 등은 식중독 예측지도와 미세먼지 등 환경정보를 제공한다. 이외에도 정부는 빅데이터 기반 학대 피해 아동 조기발굴, 복합재난 대응 시스템 구축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렇듯 빅데이터의 활용이 공공기관으로 파고들고 있지만 관련 기관들은 연구용역을 찾기는 쉽지 않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실제 기상청은 '2016년 빅데이터 기반 기상기후 융합시스템 유지관리'의 용역을 찾지 못해 한 차례 유찰 이후 나우드림이 수주했다.

또 경기콘텐츠진흥원은 '2016 빅데이터 전문인력 양성사업 대행 용역'을 긴급발주했지만 용역 사업자를 찾지 못해 난항을 겪고 있다. 이밖에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빅데이터 기반 위성정보 활용서비스 활성화 전략 수립 용역'을 지난달 30일 첫 공고한 이후 유찰돼 지난 11일 재공고했다. 한국토지주택공사도 '행복도시 신도시 건설기술 집적화를 통한 빅데이터 구축용역' 사업이 유찰을 거듭하다 사업 자체가 취소됐다.

정부 관계자는 "정부에서 발주하는 연구용역이나 소프트웨어 개발은 민간사업보다 제한이 많은 편이어서 유찰되는 경우가 많다"며 "연구소재와 영역도 한정적이어서 기업들이나 연구기관이 쉽게 접근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송혜리기자 shl@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