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개발 전략안 국과심서 확정
컨트롤타워 기능 강화에 초점

정부가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와 같은 국가적 감염병 위기에 대응할 '핵심 무기'를 개발하기 위해 과학기술 연구개발(R&D) 체계를 손본다.

정부는 보건복지부와 미래창조과학부, 농림축산식품부 등 8개 부처 합동으로 '제2차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기술개발 추진전략안'을 수립해 11일 열린 제12회 국가과학기술심의회에서 확정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감염병 위기대응 기술 개발을 위해 △국가방역체계와 연계한 감염병 R&D 지원 강화 △감염병 R&D 부처간 연계 및 범부처 총괄·조정 강화 △민·관 협력 및 R&D 성과관리 강화 △국제협력 및 연구인프라 강화 등의 세부전략을 수립했다.

특히 이번 추진전략은 국가방역체계를 총괄하는 질병관리본부의 R&D 컨트롤타워 기능을 높이는 데 초점을 뒀다.

지난해 메르스 사태 당시 실제 방역현장에 적용할 만한 R&D 성과가 보이지 않았다는 지적에 따라 앞으로 질병관리본부는 방역 현장에 필요한 기술을 조사해 R&D를 담당하는 각 부처에 전달하고, 이를 과제 선정에 반영토록 할 계획이다.

복지부, 미래부, 농림부 등 각 부처에 분산된 R&D를 총괄·조정하는 기능도 강화한다.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장이 위원장을 맡는 '범부처감염병대응연구개발추진위원회'를 설치해 감염병 연구성과가 방역체계에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살핀다. 위원회는 매년 부처별 감염병 R&D 추진현황을 파악해 중점분야별 성과점검 및 분석결과를 국과심에 보고하고, 이듬해 예산배분과 기획에 반영할 계획이다.

질본은 감염병 R&D 추진현황을 상시 모니터링하기 위해 한국연구재단과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등 연구관리기관과의 감염병 연구정보 공유 네트워크를 올 하반기 내에 구축할 예정이다.

정부는 이번 전략방안을 토대로 우선 정보통신기술(ICT) 활용한 '스마트 검역체계' 구축과 신속·정확한 융복합 감지 및 진단기술 개발, 감염병 치료제 연구, 차세대 소독제·방역기기 개발 등을 관계부처와 협력해 추진할 계획이다.

남도영기자 namdo0@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