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유율 0.9% 상승… 3.2%P 차
2위 유지… SK하이닉스 3위

[디지털타임스 황민규 기자] 삼성전자가 지난해 세계 반도체 시장에서 인텔과 시장점유율 격차를 3.2%포인트로 좁혔다. 전년과 비교하면 점유율 격차를 소폭 줄였지만, 지난해 상반기까지만 해도 삼성이 인텔을 불과 2%포인트 차이로 맹추격했다는 점에 비춰볼 때 기세가 다소 누그러든 모양새다.

11일 시장조사업체 IHS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해 매출 401억6000만달러로 시장점유율 11.6%를 기록했다. 점유율을 전년(10.7%)보다 0.9%포인트 끌어올리며 2위를 지켰다. 1위 인텔은 매출 514억2000만달러로 점유율 14.8%를 찍었다. 전년(14.1%)보다 0.7%포인트 올라간 수치다.

삼성과 인텔과 점유율 격차는 3.2%포인트 차이로 줄었다. 두 회사의 점유율 격차는 2012년 5.3%포인트에서 2013년 4.2%포인트, 2014년 3.4%포인트로 점점 줄었다. 지난해 상반기에는 한 때 두 회사의 점유율 차이가 2%포인트대로 떨어지며 사상 최저 격차를 나타내기도 했다. 하지만 하반기 들어 메모리 반도체 가격 하락세가 커지며 삼성의 상승세가 상반기보다 둔화한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매출 증가율 8.3%를 기록해 종합 반도체 업계 순위 톱10 기업 가운데 프리스타일을 인수합병(M&A)해 외형을 키운 NXP(매출 증가율 77.3%)를 제외하고는 가장 가파른 성장률을 나타냈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165억달러의 매출을 올려 점유율 4.8%를 기록했다. SK하이닉스는 비슷한 점유율의 퀄컴을 근소한 차이로 제치고 종합 반도체 업계 순위 4위에서 3위로 한 계단 올라섰다. SK하이닉스는 2012년까지만 해도 퀄컴, 도시바, 텍사스인스트루먼츠 등에 밀려 업계 순위 7위에 머물러 있었지만 2013년 5위, 2014년 4위에 이어 2015년 3위로 약진했다.

한편 상위 25개 반도체 기업의 2015년 매출(931억5000만달러)은 전년(1046억달러)보다 10.9%나 감소해 급격한 역성장을 나타냈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대형 기업간의 활발한 M&A와 메모리 반도체 가격 하락이 상위권 기업들의 전체 매출액 감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황민규기자 hmg815@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