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사업 일부 가산점 부여… 탄소배출·규제 혜택은 미미
신규 인증 신청시 2000만원… 유지비 연 1000만원도 부담

정부가 부여하는 그린데이터센터 인증이 해당 기업에 대한 혜택이 적어 실효성이 미미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4일 그린데이터센터 인증을 주관하는 한국IT서비스산업협회에 따르면 협회는 오는 6월 데이터센터 시설을 갖춘 업체의 신청을 받아 12월 평가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그간 업계에선 그린데이터센터 인증 기준이 높다는 의견이 많았지만, 협회는 올해도 지난해와 같은 기준을 적용해 평가한다.

지난해 협회는 그린데이터센터 인증 기준 중 하나로 에너지효율지수(PUE)가 1.75~1.80에 해당하는 업체에 인증을 부여했다. PUE는 1에 가까울수록 전력 효율이 높다. 하지만 지난해 협회 인증 기준인 PUE는 세계 산업 평균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텔 IT 연간 성과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산업 평균 PUE는 1.80이다.

업계에 따르면 그린데이터센터 인증을 받기 위해선 비용도 뒤따른다. 인증 소요비용은 신규 신청자의 경우 2000만원이 소요되며 인증을 유지할 경우 연간 1000만원에 최대 2회 연장할 수 있다. 데이터센터 에너지 사용량 절감은 탄소배출량을 감소시키고 기업 이미지 개선과 운영비 절감 등 사회적 활동에 기여할 수 있지만, 정작 그린데이터센터 인증을 받는 기업에 대한 혜택은 미미한 상황이다.

현재 그린데이터센터 인증을 받은 기업은 공공사업 참여 시 일부 가산점을 부여받고 있다. 그러나 업계 관계자는 "그린데이터센터 인증을 받고 정부의 탄소배출이나 다른 규제에 대한 혜택은 아직까지 없다"며 "그린데이터 센터 인증은 데이터센터가 환경적으로 안 좋다는 인식이 많아 문제없이 사업을 유지하기 위한 방책이라고 본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협회 관계자는 "업계가 요구하는 인센티브와 탄소배출권은 현재 협회와 미래부가 상의 중이며 확정된 사항은 없다"고 전했다.

한편 그린데이터센터 인증은 클라우드발전법과 국가정보화기본법을 통해 데이터센터 확산 정책에 따라 지난 2012년부터 시행됐다.

이종민기자 bellmin@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