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재난대응에 인공지능(AI)과 로봇, 무인기(드론) 등 IT 신기술을 결합하는 등 '안전 산업 육성'에 관한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31일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안전관계 장관회의'에서 정부는 '안전산업육성 추진상황'을 논의하고 향후 추진 전략을 확정했다.

지난해 추진한 육성정책 결과 약 1조6000억원 규모의 안전투자 수요를 발굴, 재정 투자를 확대하고, 안전설비 투자펀드를 통해 중견·중소기업의 안전투자에 1조6580억원을 지원했다. 또 안전산업특수분류를 제정하고, 핵심기술 개발과 국제구호사업(ODA) 연계 해외 보급 사업도 추진했다.

올해에도 정부는 △안전대진단 연계 안전투자 확대 △안전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제도 정비 △안전 신기술 개발 및 해외시장 진출을 3대 전략과제로 설정하고 관계 부처간 협의를 거쳐 세부 추진과제를 발굴하기로 했다.

우선 오는 4월까지 진행하는 국가안전대진단과 연계해 곳곳의 위험시설물 보수·보강 수요를 발굴하고, 센서, 드론 등 첨단 장비를 활용해 관련 산업 육성을 지원한다. 또 안전수요 창출을 위해 시설물 보수와 재해예방 등에 4조2147억원을 투자하고, 11조115억원에 달하는 29개 공공기관의 안전투자 집행 상황도 점검, 관리할 계획이다. 민간의 안전투자 유도를 위한 다양한 정책도 진행한다.

안전산업의 생태계 조성을 위해 제도도 정비한다. 안전산업 실태조사를 최초로 실시하고,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개정도 추진한다. 인력 확충과 안전기준 정비도 진행하는 동시에 재난의무보험 가입 확대와 기업 재해경감활동 계획 수립 시범사업도 실시한다.

소방 웨어러블 기기, 국민안전 로봇, 안전 감지센서, 재난대응현장 무인기 등 첨단 핵심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재난안전 R&D 중장기 전략을 수립해 AI 등 미래 핵심기술과제도 기획·발굴한다. 또 다양한 안전 공공 데이터를 국민에 개방하고, 지자체·민간기업 등과 협업해 다양한 사업을 창출할 수 있는 방안도 지원한다.

정부는 실질적 추진을 위해 국민안전처와 산업통상자원부가 공동단장을 맡는 '안전산업육성지원단'을 구성하고, 자문단도 위촉해 폭 넓은 의견수렴을 거칠 계획이다.

박인용 국민안전처 장관은 "안전산업은 향후 성장 전망이 높은 융·복합형 산업으로 안전산업 육성을 통해 우리사회의 안전도 강화하고, 경제성장 및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 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범부처 협업을 통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여 안전산업 성장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이재운기자 jwlee@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