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척 인도대금 총 약 5000억원 유입
[디지털타임스 양지윤 기자] 대우조선해양이 올해 넘겨주기로 했던 석유시추선 1척을 예정대로 인도했다.
대우조선해양은 31일 송가 오프쇼어사의 반잠수식시추선 가운데 마지막 4호를 선주 측에 인도했다고 밝혔다. 인도 후 수령한 인도대금은 약 5000억원에 달한다. 송가 1,2,3호선은 지난해 6,8,12월에 각각 인도한 바 있다.
이번에 인도한 석유시추선은 2011년 9월과 2012년 5월 두차례에 걸쳐 총 4척을 수주한 반잠수식시추선의 마지막 호선이다. 노르웨이 국영석유회사인 스탯오일이 정한 '카테고리-D' 개발 프로그램의 하나로 노르웨이 대륙붕에 특화한 성능을 최적화해 맞춤형으로 건조했다.
최대 수심 500m에서 최대 8500m 깊이까지 시추가 가능하고 기존 시추 기능에 더해 시추공 마무리 기능이 수행이 가능하도록 건조한 점이 특징이다.
대우조선해양 측은 "설계 변경 등으로 손실을 입기는 했지만 그동안 작업 노하우와 반잠수식 시추선 건조 경험을 바탕으로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었다"고 자평했다.
선주 측도" 비록 어려움은 많았지만 품질에는 만족한다"며 이번 프로젝트를 담당한 직원들에게 기프트카드를 선물하는 등 만족감을 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인도는 최근 국제 유가 하락으로 각 조선소에서 건조 중인 해양플랜트 프로젝트의 인도가 발주사 측 사정으로 지연되거나 취소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는 상황에서 정상적으로 인도가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대우조선 측은 설명했다.
특히 지난해 대형 손실의 주 이유로 손꼽히는 송가 프로젝트가 완료됨에 따라 생산일정에 한결 여유가 생기는 한편 유동성 문제도 숨통 트일 것으로 보인다.
이성근 대우조선해양 조선소장(전무)은 "현재 생산이 안정을 찾아가고 있고 첫 번째 단추를 잘 꿰었다"며 "이 여세를 몰아 올해 추가 인도 예정인 8기의 해양플랜트도 인도 일정을 준수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일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우조선해양은 지난해 발주자가 공급한 기본설계 패키지에 오류가 있었음을 파악하고 송가 1호선과 2호선 건조과정 중 발생한 추가 건조비용 보전을 위해 중재를 신청, 현재 진행 중이다.
양지윤기자 galileo@dt.co.kr
대우조선이 최근 인도한 송가 반잠수식시추선의 모습.<대우조선해양 제공>
[디지털타임스 양지윤 기자] 대우조선해양이 올해 넘겨주기로 했던 석유시추선 1척을 예정대로 인도했다.
대우조선해양은 31일 송가 오프쇼어사의 반잠수식시추선 가운데 마지막 4호를 선주 측에 인도했다고 밝혔다. 인도 후 수령한 인도대금은 약 5000억원에 달한다. 송가 1,2,3호선은 지난해 6,8,12월에 각각 인도한 바 있다.
이번에 인도한 석유시추선은 2011년 9월과 2012년 5월 두차례에 걸쳐 총 4척을 수주한 반잠수식시추선의 마지막 호선이다. 노르웨이 국영석유회사인 스탯오일이 정한 '카테고리-D' 개발 프로그램의 하나로 노르웨이 대륙붕에 특화한 성능을 최적화해 맞춤형으로 건조했다.
최대 수심 500m에서 최대 8500m 깊이까지 시추가 가능하고 기존 시추 기능에 더해 시추공 마무리 기능이 수행이 가능하도록 건조한 점이 특징이다.
대우조선해양 측은 "설계 변경 등으로 손실을 입기는 했지만 그동안 작업 노하우와 반잠수식 시추선 건조 경험을 바탕으로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었다"고 자평했다.
선주 측도" 비록 어려움은 많았지만 품질에는 만족한다"며 이번 프로젝트를 담당한 직원들에게 기프트카드를 선물하는 등 만족감을 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인도는 최근 국제 유가 하락으로 각 조선소에서 건조 중인 해양플랜트 프로젝트의 인도가 발주사 측 사정으로 지연되거나 취소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는 상황에서 정상적으로 인도가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대우조선 측은 설명했다.
특히 지난해 대형 손실의 주 이유로 손꼽히는 송가 프로젝트가 완료됨에 따라 생산일정에 한결 여유가 생기는 한편 유동성 문제도 숨통 트일 것으로 보인다.
이성근 대우조선해양 조선소장(전무)은 "현재 생산이 안정을 찾아가고 있고 첫 번째 단추를 잘 꿰었다"며 "이 여세를 몰아 올해 추가 인도 예정인 8기의 해양플랜트도 인도 일정을 준수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일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우조선해양은 지난해 발주자가 공급한 기본설계 패키지에 오류가 있었음을 파악하고 송가 1호선과 2호선 건조과정 중 발생한 추가 건조비용 보전을 위해 중재를 신청, 현재 진행 중이다.
양지윤기자 galileo@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