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가계소비지출의 미미한 증가세가 유지됐지만 소득 증가율과 주요 물가지수 상승폭이 각각 둔화되면서 본격적인 소비 회복과는 여전히 거리가 있음을 보였다.

미국 상무부는 지난 2월의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 상승률이 지난해 같은 달보다 1.0% 증가했다고 28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는 지난 1월보다 0.2%포인트 낮아진 값이다.

지난 2월의 개인소득 증가율은 0.2%로 지난 1월의 0.5%보다 낮아졌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에서 기준 물가지표로 간주하는 핵심 PCE 물가지수 상승률은 1.7%로 지난 1월과 같았다. 핵심 PCE 물가지수는 PCE 물가지수에서 변동성이 높은 에너지와 식품 부문을 제외하고 산출한 지표다.

개인소비지출 증가율은 0.1%로 3개월째 같은 값을 유지했고 개인저축률은 5.4%로 지난 1월보다 0.1% 높아진 반면, 임금소득은 지난달에 0.1% 감소했다. 월간 임금소득의 감소는 지난해 9월 이후 처음이다.

이날 발표된 개인소득·소비지출 지표들은 개인소득과 개인소비지출, 임금소득 증가율이 모두 높아졌던 지난 1월과 많은 차이를 보였다.

금융시장 전문가들은 표면적으로 볼 때 미국 소비자들이 낮아진 유가로 생긴 여윳돈을 그대로 소비하기보다 저축하는 쪽을 택한 것으로 보인다고 풀이했다.

웰스파고증권의 샘 불라드 연구원은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미국 소비자들이 여전히 관망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앞으로의 소비회복 전망이라는 면에서는 여전히 긍정적"이라는 의견을 보였다.

미국에서 고용시장은 호조를 이어가고 있지만 제조업 경기지표에 이어 소비관련 지표들도 주춤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전체 미국경제가 얼마나 강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지, 나아가 미국 금리인상 속도를 어떻게 조절해야 할지에 대한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전체 미국 경제에서 소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70%다.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은 지난 16일 기준금리 동결 결정 이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미국 경제의 회복 전망을 낙관하면서도, 최근 나타난 핵심 PCE 물가지수의 상승세가 유지될지를 지켜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12월 기준금리를 올리면서 올해 약 4번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제시했던 연준은 지난 16일 금리 결정을 발표하면서 금리 인상이 2번 정도에 그칠 수 있다고 전망을 수정했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