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늑장행정에 멍든 드론연구 대구시 부지확정 지지부진 입주 6개월이나 늦춰져 예정부지 선거용 오르내려 센터 임시거처서 출범 눈살
첨단 드론 기술을 연구할 스마트로봇연구센터가 출범부터 '셋방살이' 신세에 놓였다. 지방자치단체의 늑장 행정으로 연구종합 센터 입주 시기가 반년 가까이 연기된 탓이다. 이로 인해 입주 예정이던 한화테크윈도 인력과 예산 등을 확정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일각에서는 내달 총선을 앞두고 정치권이 부지 관련 공약을 쏟아내면서 입주가 더 지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1월 대구시와 한화테크윈이 협약(MOU)해 이달 말까지 설립하기로 한 스마트로봇연구센터가 임시 거처에서 출범한다. 스마트로봇연구센터는 외산에 의존하는 드론 통신 기술을 국산화·표준화하고 국내 드론 산업 생태계를 육성하기 위해 설립한다.
이달 말 출범을 앞두고 입주 예정 기업인 한화테크윈은 우왕좌왕하고 있다. 입주 장소 대신 임시 거처에서 출범해야 할 상황에 놓였기 때문이다. 대구시는 경상북도교육청이 이전하고 남은 자리에 스마트로봇연구센터를 포함한 종합 센터를 만들어 드론 연구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방침이었다. 이는 지난해 8월 대구시가 산업통상자원부 지원 사업에 선정돼 스마트 드론 기술의 지역 거점을 만들려는 계획의 일환이었다.
하지만 대구시의 늑장 행정으로 시작부터 꼬이는 형국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경북교육청 후적지에 드론 등 연구개발 기관을 유치해 센터를 설립하는 계획은 있었지만, 구체적인 일정은 잡지 않았다"며 "사업을 추진하다 보면 늦어질 수 있는데 지난 1월 협약에서 센터를 이번 달에 설립하기로 한 발표는 뭔가 착오가 있었던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경상북도 교육청 이전이 지난해부터 계속 늦어져 결국 올 2월에 나간 탓에 이때부터 공간 기획이나 리모델링 공사 일정을 논의했다"며 "공사 설계나 조달 계약 등을 거쳐 모두 마무리하면 입주 기업이 들어올 수 있는 것은 빨라야 8월일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한화테크윈 관계자는 "이동계획을 갖고 있지만 장소가 최종 결정되지 않아 상주 인원, 운영 예산 등을 확정하지 못했다"며 "대구시 내 임시 거처를 정해 3월 말에 맞춰 출범하고 드론 기술팀이 상주하며 대구시와 함께 실증 연구 사업을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선 경북교육청을 포함한 옛 경북도청 부지의 활용방안이 제대로 정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추진되다 보니 일정에 차질을 빚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대구시는 수년 전부터 경북도청과 경북교육청의 부지 이전 계획이 나왔지만 활용 계획을 잡지 못했다. 대구시는 부지 공백을 막기 위해 지난해부터 교육청 부지에 연구개발센터를 유치하는 임시 활용 방안을 추진했고, 스마트로봇연구센터는 이곳에 들어갈 예정이다. 여기에 오는 4월 총선을 앞두고 정치권에서 부지 관련 공약을 쏟아내면서 센터 계획이 변경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