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지카바이러스 감염 첫 사례가 발생했다. 43세 남성으로 브라질 출장 중 모기에 물려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는 국내에서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의심 환자에 대해 유전자 검사를 실시한 결과 3월 22일 확진됐다고 밝혔다. 환자는 지난달 17일부터 이달 9일까지 22일간 브라질 북동부지역(세아라주) 출장 중 모기에 물렸으며, 지난 11일 독일을 경유해 귀국했다.
16일 열이 있어 18일 전남 광양 소재 의료기관을 처음 방문한 이후 19일부터 근육통, 발진이 있어 21일 다시 의료기관에 방문했다. 의료기관은 지카바이러스 의심증상이 있어 보건소에 신고했고 광양시 보건소가 검체 채취 및 사례조사를 실시했다.
전남 보건환경연구원과 국립보건연구원에서 실시한 유전자 검사(RT-PCR) 결과에서 양성을 보여 지카바이러스 감염이 확진됐고, 현재 전남대학교병원에 입원한 환자는 발열이 없고 발진이 가라 앉아 호전 중이다.
환자는 호흡기 등으로 감염되지 않는 지카바이러스의 특성상 별도의 격리조치가 필요 없지만 국내에 유입된 첫 번째 사례임을 감안해 입원 중 임상적 관찰과 추가적인 정밀검사 및 역학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며, 배우자에 대해서도 역학조사를 시행할 계획이다.
정기석 질병관리본부장은 "첫 감염자는 브라질에서 직항이 아닌 독일을 경유해왔지만 법무부와 협조시스템이 있었기 때문에 귀국 후 수차례 지카바이러스에 대한 증상이 있으면 신고하라는 안내문자를 발송했다"며 "지금도 감염자의 발진과 열, 근육통 등이 사라져 의학적으로 입원 치료할 상태는 아니지만 정밀검사를 진행하고, 입원이 정말 무의미하다고 판단되면 원내감염 예방 등을 위해 퇴원토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우리나라는 현재 지카바이러스 감염 매개체로 알려진 흰줄숲모기 활동기간(5월부터 성충모기가 돼 늦가을인 10월까지 활동)이 아니기 때문에 국내에서 모기로 인한 2차 전파 가능성은 낮다고 평가하고 현재 감염병 위기 경보 수준을 관심단계로 유지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번 사레와 같이 발생 국가 여행객으로 인한 추가 유입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임신부는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발생 국가 여행을 자제하고, 발생 국가 여행객은 모기기피제 사용과 귀국 후 의심증상 발견 시 질병관리본부 콜센터 109에 신고할 것 등을 당부했다.
김지섭기자 cloud50@dt.co.kr
정기석 질병관리본부장이 22일 정부 서울청사에서 한국인 첫 지카바이러스 감염 사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