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웹캠이나 IP카메라 촬영 영상 유출에 대한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행정자치부는 지난 2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미래창조과학부, 방송통신위원회, 한국디지털CCTV연구조합 등이 참석한 가운데 민관 관계자 대책회의를 갖고 대안을 논의했다.
주요 논의사항은 △웹캠·IP카메라 등의 안전한 비밀번호 설정 △주기적 자율 점검 △보안의식 확산 등이다.
우선 제조사를 대상으로 기존의 단순한 형태(1111, 1234 등)인 초기설정 비밀번호를 없애고, 제품 설명서 앞면 등 소비자의 눈에 잘 띄는 곳에 안전한 비밀번호 설정에 대한 자세한 안내 문구를 삽입하도록 할 계획이다. 또 관련 단체를 중심으로 회원사가 웹캠 등 설치시 준수해야 할 주의사항 등을 마련하고 주기적으로 자율 점검을 실시하도록 하는 한편, 교육과 홍보를 통해 보안의식 제고 필요성을 널리 알려 웹캠 등으로 인해 개인의 사생활이 노출되지 않도록 노력하기로 협의했다.
미래부와 방통위도 지속적인 웹사이트 모니터링 등으로 개인정보 노출 시 신속히 차단하는 등 부처 간 협업도 강화한다.
이는 지난해 등장한 '인세캠'이라는 웹사이트를 통해 국내는 물론 전 세계에서 웹캠이나 IP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이 무단으로 유출된데 따른 조치다. 현재 국내에서는 접속을 차단했으나 최근 서버를 러시아에서 미국으로 옮기는 등 운영을 계속하고 있어 추가 피해가 우려된다. 국내에서는 현재 358곳이 노출된 것으로 행자부는 파악하고 있다.
강성조 행정자치부 개인정보보호정책관은 "웹캠·IP카메라 등의 경우, 비밀번호 변경만으로도 무단 접속으로 인한 사생활 노출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 국민들께서는 비밀번호를 자주 변경하여 외부 접속에 대비하여 주실 것을 당부드린다"고 말했다.이재운기자 jwlee@dt.co.kr
행정자치부는 지난 2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미래창조과학부, 방송통신위원회, 한국디지털CCTV연구조합 등이 참석한 가운데 민관 관계자 대책회의를 갖고 대안을 논의했다.
주요 논의사항은 △웹캠·IP카메라 등의 안전한 비밀번호 설정 △주기적 자율 점검 △보안의식 확산 등이다.
우선 제조사를 대상으로 기존의 단순한 형태(1111, 1234 등)인 초기설정 비밀번호를 없애고, 제품 설명서 앞면 등 소비자의 눈에 잘 띄는 곳에 안전한 비밀번호 설정에 대한 자세한 안내 문구를 삽입하도록 할 계획이다. 또 관련 단체를 중심으로 회원사가 웹캠 등 설치시 준수해야 할 주의사항 등을 마련하고 주기적으로 자율 점검을 실시하도록 하는 한편, 교육과 홍보를 통해 보안의식 제고 필요성을 널리 알려 웹캠 등으로 인해 개인의 사생활이 노출되지 않도록 노력하기로 협의했다.
미래부와 방통위도 지속적인 웹사이트 모니터링 등으로 개인정보 노출 시 신속히 차단하는 등 부처 간 협업도 강화한다.
이는 지난해 등장한 '인세캠'이라는 웹사이트를 통해 국내는 물론 전 세계에서 웹캠이나 IP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이 무단으로 유출된데 따른 조치다. 현재 국내에서는 접속을 차단했으나 최근 서버를 러시아에서 미국으로 옮기는 등 운영을 계속하고 있어 추가 피해가 우려된다. 국내에서는 현재 358곳이 노출된 것으로 행자부는 파악하고 있다.
강성조 행정자치부 개인정보보호정책관은 "웹캠·IP카메라 등의 경우, 비밀번호 변경만으로도 무단 접속으로 인한 사생활 노출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 국민들께서는 비밀번호를 자주 변경하여 외부 접속에 대비하여 주실 것을 당부드린다"고 말했다.이재운기자 jwlee@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