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예비후보중 전문가 기근현상… "분구지역 전략공천" 주장도
20대 국회의원 총선거를 앞둔 각 정당이 'ICT 전문가 기근'에 시달리고 있다.

각 정당이 공천 신청을 마감했지만 현역 의원은 물론 눈에 띄는 'ICT 전문가'를 찾아보기 힘들다.

야당은 물론 여당 내 공천신청자 중에서도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를 뒷받침할 수 있는 인물을 찾아보기 힘들어 박 대통령 임기가 끝나는 2018년 2월까지 약 2년 간은 '창조경제 공백기'가 찾아올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일각에서는 비례대표 후보에 ICT전문가의 전진배치 필요성도 제기된다. 특히 분구되는 지역만이라도 ICT전문가에 전략공천을 해야한다는 지적이다.

22일 현재 공천신청자를 공개한 새누리당과 더불어민주당의 공천신청자 면면을 보면 ICT 전문가로 분류되는 인물은 10여명에 불과하다.

새누리당의 경우 현역 의원은 권은희(대구북갑, 전 KT상무) 의원, 전하진(경기 성남 분당을, 전 한글과컴퓨터 대표이사) 의원 2명에 불과하다.

예비후보 중에는 윤창번(강남갑, 전 청와대 미래전략수석, 전 하나로텔레콤 대표)·조명희(대구 중남, 경북대 항공위성시스템전공 교수)·황영헌(대구 북을, KT 신사업개발담당 상무)·주대준(경기 광명을, 카이스트부총장)·이주희(서울 영등포갑, 사이다소프트 고문)·조병국(경기 파주갑, 전 라리탄코리아 대표) 예비후보가 전부다.

특히 이들 중 공천과 함께 당선 안정권에 들어간 사람은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ICT업계에서는 창조경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더민주에 공천을 신청한 예비후보 중 ICT 전문가로 분류할 수 있는 인물은 문용식(경기 고양덕양을, 아프리카TV 창립자)·이웅렬(경기 화성을, 플러그앤플레이 대표)·변재인(충북 청원, 정보통신부 차관)·김선화(충남 아산, 대통령비서실 정보과학기술보좌관) 예비후보까지 4명에 불과하다.

문재인 전 대표가 김병관 웹젠 이사회 의장을 영입했지만 김 의장은 지역구 공천신청을 하지 않았고 비례대표 공천 과정에서 당선권 내에 포함될 지 미지수다.

ICT 업계에서는 세계 산업계가 ICT를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는 상황에서 의회에 ICT 전문가가 부족할 경우 최근 다시 각광을 받고 있는 ICT 산업이 재도약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더구나 이들 예비후보 모두가 공천을 받아 20대 국회에 입성할 수 있다고 장담할 수도 없어, ICT 산업이 비전문가들에 의해 좌지우지 될 전망이다.

다만 "경제·IT·과학·외교 전문가가 인재영입 원칙"이라고 밝힌 안철수 공동대표가 이끄는 국민의당의 경우 아직까지 공천신청자 명단을 공개하지 않고 있어 '국민의 당' 간판으로 이번 총선에 나설 ICT 전문가가 얼마나 될 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호승기자 yos547@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