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6조5207억원 … 근거리쇼핑· 담뱃값 인상 원인
백화점 '마이너스' 성장속 대형마트도 매출 지지부진

장기 불황으로 백화점과 대형마트 등 오프라인 유통업계가 매출 하향세를 면치 못한 반면 편의점은 나홀로 성장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5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백화점·대형마트·슈퍼마켓·편의점 등 6개 소매업권의 판매액은 약 276조9153억원으로 2014년(267조7665억원)보다 3.4%(9조1489억원) 증가했다.

오프라인 소매채널의 판매액 증가율은 2012년 4%대였으며 2013년과 2014년에는 1%대에 그쳤다. 지난해 매출 증가세가 다소 회복됐지만 소비 심리가 완전히 살아난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백화점은 2014년에 이어 2년째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했다. 지난해 백화점 업계의 매출은 전년보다 0.4% 감소한 29조2023억원 규모였다. 매출 증가율은 2011년 11.4%에서 2012년 5.4%, 2013년 2.6%로 하향곡선을 그리다 급기야 2014년 10년 만에 역신장(-1.6%)으로 돌아섰다.

메르스의 영향으로 백화점 매출은 작년 6월에는 전년 동기 대비 11.9% 감소했지만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 행사가 열린 10월에는 11.4% 성장했다. 정부가 주도한 한국판 블랙프라이데이는 백화점 매출에는 도움이 됐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역성장을 피해가지는 못했다.

대형마트와 슈퍼마켓도 백화점과 더불어 성장률이 소폭 높아졌지만 침체국면이 이어지는 양상이다. 전체 매출은 48조6355억원으로 전년 47조4969억원보다 2.4% 증가하는 데 그쳤으며 슈퍼마켓 매출 규모는 약 36조1895억원으로 2014년(35조3507억원)보다 2.4% 성장했다.

전년보다는 성장률이 소폭 높아졌지만 대형마트와 마찬가지로 침체 국면이 이어지는 양상이다.

반면 편의점 매출 규모는 2014년 12조7437억원에서 2015년 16조5207억원으로 29.6%나 증가했다. 1∼2인 가구 확대 속에서 점포 수 증가, 메르스 확산에 따른 근거리 쇼핑 확대, 담배 가격 인상 등이 맞물려 큰 폭으로 성장한 것으로 분석된다. 업체별로는 BGF리테일이 운영하는 씨유(CU)의 매출이 4조2576억원으로 전년(3조3031억원)보다 28.9% 늘었다. 매장 수도 2014년 말 8408개에서 작년 말 9409개로 1001개 늘었다. GS리테일이 운영하는 편의점 GS25의 작년 매출액 잠정치는 4조3132억원으로 전년(3조5021억원)보다 32.8%, 점포수는 8290개에서 9285개로 995개 늘었다. 세븐일레븐의 작년 매출액은 전년보다 23.5% 증가한 3조3150억원을 기록했고, 점포수는 769개 증가한 8000개로 집계됐다.

박미영기자 mypark@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