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현대·기아차의 신차 설계도면이 통째로 중국에 유출된 사건이 발생했다.
범인은 국내 자동차 설계용역업체 직원이었다. 중국 5위권 자동차업체의 신차 개발사업 설계 부문을 담당한 이 직원은 한때 근무했던 현대·기아차 협력업체 동료를 통해 부품 설계도면 등 영업비밀 130여건을 빼돌렸다.
해당 자료는 중국업체 신차 개발에 그대로 활용됐다. 현대·기아차는 설계도면 유출에 따른 영업상 피해액이 700억원대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자동차·전자·조선 등 국내 주력 산업의 침체가 장기화하는 가운데 미래 기업의 경쟁력을 갉아먹는 산업기술 유출이 여전히 큰 문제가 되고 있다.
9일 한국형사정책연구원 김경찬 연구원 등이 작성한 '중국 관련 영업비밀침해 범죄의 실태와 그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2010∼2014년 발생한 산업기술 해외유출 범죄는 63건(경찰청 집계)에 달했다.
2010년에는 5건에 불과했으나 2011년 10건으로 증가한 이후 매년 두자릿수를 유지하고 있다.
이 가운데 중국으로 유출된 건수가 34건(54%)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일본 8건, 미국 6건, 대만 5건 등의 순이었다. 베트남·스페인·영국·사우디아라비아 등으로도 유출됐다.
기술유출 범죄에 연루된 인원도 2010년 886명에서 2013년에는 1천156명으로 3년 만에 30.4%나 증가했다.
영업비밀침해 범죄의 발생부터 검거까지 걸리는 기간을 보면 1개월 이내 검거율이 극히 저조하다.
연도별로 보면 2010년 16.9%, 2011년 11%, 2012년 8.9%, 2013년 8.6% 등으로 해가 갈수록 낮아지고 있다. 이에 반해 1년 초과 검거율은 같은 기간 30.1%, 34%, 33.8%, 38.7% 등으로 점차 높아졌다.
기술유출이 상당 부분 이뤄진 뒤 범죄가 인지되는 경우가 많아 피해를 막기가 쉽지 않다는 얘기다. 기술유출 범죄가 점점 교묘해지는 현실도 반영한다.
기술유출 범죄의 특성상 혐의를 입증하기도 어려워 '공소권 없음'이나 '혐의 없음'으로 면죄부를 받는 비율도 70%를 웃돈다.
보고서는 "기술유출의 사후 규제가 쉽지 않은 만큼 교육과 계몽을 통한 사전적 예방이 효과적"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형법적 보호보다는 민사적 구제를 우선시해야 한다고 짚었다.
범인은 국내 자동차 설계용역업체 직원이었다. 중국 5위권 자동차업체의 신차 개발사업 설계 부문을 담당한 이 직원은 한때 근무했던 현대·기아차 협력업체 동료를 통해 부품 설계도면 등 영업비밀 130여건을 빼돌렸다.
해당 자료는 중국업체 신차 개발에 그대로 활용됐다. 현대·기아차는 설계도면 유출에 따른 영업상 피해액이 700억원대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자동차·전자·조선 등 국내 주력 산업의 침체가 장기화하는 가운데 미래 기업의 경쟁력을 갉아먹는 산업기술 유출이 여전히 큰 문제가 되고 있다.
9일 한국형사정책연구원 김경찬 연구원 등이 작성한 '중국 관련 영업비밀침해 범죄의 실태와 그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2010∼2014년 발생한 산업기술 해외유출 범죄는 63건(경찰청 집계)에 달했다.
2010년에는 5건에 불과했으나 2011년 10건으로 증가한 이후 매년 두자릿수를 유지하고 있다.
이 가운데 중국으로 유출된 건수가 34건(54%)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일본 8건, 미국 6건, 대만 5건 등의 순이었다. 베트남·스페인·영국·사우디아라비아 등으로도 유출됐다.
기술유출 범죄에 연루된 인원도 2010년 886명에서 2013년에는 1천156명으로 3년 만에 30.4%나 증가했다.
영업비밀침해 범죄의 발생부터 검거까지 걸리는 기간을 보면 1개월 이내 검거율이 극히 저조하다.
연도별로 보면 2010년 16.9%, 2011년 11%, 2012년 8.9%, 2013년 8.6% 등으로 해가 갈수록 낮아지고 있다. 이에 반해 1년 초과 검거율은 같은 기간 30.1%, 34%, 33.8%, 38.7% 등으로 점차 높아졌다.
기술유출이 상당 부분 이뤄진 뒤 범죄가 인지되는 경우가 많아 피해를 막기가 쉽지 않다는 얘기다. 기술유출 범죄가 점점 교묘해지는 현실도 반영한다.
기술유출 범죄의 특성상 혐의를 입증하기도 어려워 '공소권 없음'이나 '혐의 없음'으로 면죄부를 받는 비율도 70%를 웃돈다.
보고서는 "기술유출의 사후 규제가 쉽지 않은 만큼 교육과 계몽을 통한 사전적 예방이 효과적"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형법적 보호보다는 민사적 구제를 우선시해야 한다고 짚었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