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산병원 원혜성 교수팀
서울아산병원 태아치료센터 의료진이 태아에게 대동맥판막 풍선확장술을 시행하고 있다. 서울아산병원 제공
서울아산병원 태아치료센터 의료진이 태아에게 대동맥판막 풍선확장술을 시행하고 있다. 서울아산병원 제공

국내 의료진이 산모의 뱃속에서 좁아진 태아의 심장 판막을 풍선으로 넓히는 수술에 성공했다.

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 원혜성·이미영 교수와 소아심장과 김영휘 교수팀은 선천성 중증 대동맥판막협착증을 앓고 있는 29주 태아에게 대동맥판막 풍선확장술을 시행해 국내에서 처음으로 성공했다고 2일 밝혔다.

중증 대동맥판막협착증은 심장의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를 연결하는 문인 대동맥판막이 좁아져 정상적으로 열리지 않아 심부전 등이 발생하고 심장기능이 떨어지는 질환이다. 선천성일 경우 임신 20주 전후에 산전 초음파로 발견할 수 있다. 진단이 비교적 쉽지만 지금까지 마땅한 치료 방법이 없었고, 출생 후 치료하려면 상태가 이미 악화된 경우가 많아 여러 번에 걸쳐 가슴을 절개하는 심장 수술을 받아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아산병원 의료진은 태아의 심장을 초음파로 확인하면서 산모의 배를 통과해 태아의 대동맥판막까지 카테터를 삽입한 후, 풍선을 부풀려 좁아진 판막을 넓히는 시술을 했다. 시술 이후 태아의 좁아진 대동맥판막이 넓어지면서 심장기능이 73%(50% 이상이면 정상)까지 회복됐고, 추가적인 심장 수술도 할 필요가 없게 됐다고 의료진은 설명했다.

태아의 판막 풍선확장술은 지난 1991년에 영국에서 처음 시작됐으며, 현재는 미국 보스턴어린이전문병원에서 가장 많이 치료하고 있다. 이 병원은 지난 2014년 시행한 100례 이상의 시술에서 77%의 성공률을 보였으며, 그중 절반 이상의 태아는 출생 후에 수술을 시행하지 않고도 심장 기능이 정상적으로 돌아왔다.

원혜성 교수는 "선천성 중증 대동맥판막협착증은 일찍 진단되더라도 마땅한 치료 방법이 없어 출생 후 여러 번의 심장 수술을 받았다"며 "앞으로는 태아 때 조기치료를 통해 신생아 심장수술에 대한 부담과 부모들의 걱정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남도영기자 namdo0@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