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처, 3단계로 분류 불편 해소
국민안전처는 올해 출시되는 신규 스마트폰부터 재난문자방송 수신 알림음을 중요도에 따라 조절, 국민 불편을 줄이겠다고 11일 밝혔다.
그동안 재난문자방송은 사용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68데시벨(㏈) 이상의 큰 경보음으로 알리는 과정에서 사용자인 국민의 불편을 초래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국민안전처는 지적에 따라 알림음을 '안전안내, 긴급재난, 위급재난' 등 3단계로 분류해 단계에 따라 음량을 조절한다. 우선 가장 낮은 단계인 안전안내에서는 사용자의 환경설정에 따라 일반적인 벨소리 음량이나 무음이나 진동 상태로 안내를 제공한다. 주민대피를 알리는 긴급재난 단계의 알림과 전쟁상황을 알리는 위급재난 알림의 경우 음량을 각각 40㏈과 60㏈로 제공해 긴급한 상황에 대해서만 사용자가 이를 빨리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이상권 국민안전처 자연재난대응과장은 "기존 LTE 휴대폰도 개선된 수신기능이 적용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3G폰과 기존 LTE폰을 소지한 국민도 '안전디딤돌' 앱을 설치하여 요란한 경보음으로 인한 불편을 해소하함은 물론, 재난문자방송과 동일한 내용을 수신함으로써 스스로의 안전을 지킬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재운기자 jwlee@
국민안전처는 올해 출시되는 신규 스마트폰부터 재난문자방송 수신 알림음을 중요도에 따라 조절, 국민 불편을 줄이겠다고 11일 밝혔다.
그동안 재난문자방송은 사용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68데시벨(㏈) 이상의 큰 경보음으로 알리는 과정에서 사용자인 국민의 불편을 초래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국민안전처는 지적에 따라 알림음을 '안전안내, 긴급재난, 위급재난' 등 3단계로 분류해 단계에 따라 음량을 조절한다. 우선 가장 낮은 단계인 안전안내에서는 사용자의 환경설정에 따라 일반적인 벨소리 음량이나 무음이나 진동 상태로 안내를 제공한다. 주민대피를 알리는 긴급재난 단계의 알림과 전쟁상황을 알리는 위급재난 알림의 경우 음량을 각각 40㏈과 60㏈로 제공해 긴급한 상황에 대해서만 사용자가 이를 빨리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이상권 국민안전처 자연재난대응과장은 "기존 LTE 휴대폰도 개선된 수신기능이 적용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3G폰과 기존 LTE폰을 소지한 국민도 '안전디딤돌' 앱을 설치하여 요란한 경보음으로 인한 불편을 해소하함은 물론, 재난문자방송과 동일한 내용을 수신함으로써 스스로의 안전을 지킬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재운기자 jwlee@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