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룡 금융위원장이 올해 투자를 통한 기술금융지원을 확대할 것이라고 11일 밝혔다.
이날 임 위원장은 경기도 김포에 위치한 기술금융 투자 유치기업 '큐라켐'을 방문한 자리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모두발언을 통해 "은행권 대출 중심으로 기술금융이 성공적으로 추진된 결과 총 30조9000억원의 자금이 신규 및 증액대출로 우수 기술기업에 공급될 수 있었다"면서도 "투자를 통한 기술금융 지원은 다소 미진한 면이 있었다"고 평가했다.
이에 금융위는 올해를 '기술금융 투자 활성화의 해'로 삼고 우수 기술기업에 대한 투자 확대를 적극 추진하겠다는 계획이다. 일환으로 이달 25일부터 시작되는 투자형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우수한 기술의 사업화를 유도할 방침이다. 이에 앞서 20일 온라인 기반의 '기업투자정보마당'을 구축, 정책금융기관과 전국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가 보유한 창업·중소기업 3만여개의 투자정보를 투자기관에 제공한다.
더불어 미래성장동력 산업 내 우수 기술기업에 집중 투자하는 신규 기술금융 펀드를 1000억원 규모로 조성하기로 했다. 지난해 조성된 기술가치평가·지식재산권 투자펀드의 투자 본격화할 계획도 세웠다.
금융위 관계자는 "우수 기술기업에 대한 기술특례상장 확대 등 코스닥·코넥스 시장 기능 개편을 통해 중소기업에 대한 모험자본 투자·회수 및 재투자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박소영기자 cat@dt.co.kr
이날 임 위원장은 경기도 김포에 위치한 기술금융 투자 유치기업 '큐라켐'을 방문한 자리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모두발언을 통해 "은행권 대출 중심으로 기술금융이 성공적으로 추진된 결과 총 30조9000억원의 자금이 신규 및 증액대출로 우수 기술기업에 공급될 수 있었다"면서도 "투자를 통한 기술금융 지원은 다소 미진한 면이 있었다"고 평가했다.
이에 금융위는 올해를 '기술금융 투자 활성화의 해'로 삼고 우수 기술기업에 대한 투자 확대를 적극 추진하겠다는 계획이다. 일환으로 이달 25일부터 시작되는 투자형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우수한 기술의 사업화를 유도할 방침이다. 이에 앞서 20일 온라인 기반의 '기업투자정보마당'을 구축, 정책금융기관과 전국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가 보유한 창업·중소기업 3만여개의 투자정보를 투자기관에 제공한다.
더불어 미래성장동력 산업 내 우수 기술기업에 집중 투자하는 신규 기술금융 펀드를 1000억원 규모로 조성하기로 했다. 지난해 조성된 기술가치평가·지식재산권 투자펀드의 투자 본격화할 계획도 세웠다.
금융위 관계자는 "우수 기술기업에 대한 기술특례상장 확대 등 코스닥·코넥스 시장 기능 개편을 통해 중소기업에 대한 모험자본 투자·회수 및 재투자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박소영기자 cat@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