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식, 아토피피부염, 알레르기비염 등의 알레르기 질환은 서구 선진국에서 유독 높은 유병률을 보여 그동안 '선진국병'으로 불려왔다.
선진국에서는 이들 알레르기 질환이 2000년대 들어 정점에 달한 이후 줄어들기 시작했다. 도시화와 산업화가 이뤄지는 과정에서 알레르기질환의 유병률이 덩달아 높아졌다가 산업화가 끝나자 다시 낮아진 것이다.
그런데 우리나라도 최근 들어 미국 등 선진국처럼 알레르기 질환의 증가 추세가 한풀 꺾였다는 분석이 나와 주목된다.
강혜련 서울대병원 알레르기내과 교수팀은 이런 내용의 논문을 일본알레르기학회에서 발간하는 국제학술지(Allergology International) 최신호에 발표했다고 5일 밝혔다.
연구팀은 2009년부터 2014년까지 6년 동안 아토피피부염, 알레르기비염, 천식으로 치료받은 국민건강보험공단 기록을 분석했다.
이 결과 2014년 기준 인구 1천명당 알레르기질환 발생 건수는 알레르기비염이 133.1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천식 36.3건, 아토피피부염 19건 순으로 집계됐다.
6년 전인 2009년과 비교하면 천식은 5.8%, 아토피피부염은 2.6%가 각각 줄어든 수치다. 이처럼 천식과 아토피 피부염이 감소세로 돌아선 것은 우리나라도 도시화, 산업화가 완료단계에 접어들었기 때문이라는 게 연구팀의 분석이다.
강혜련 교수는 "1960년부터 2000년대까지 산업화, 도시화가 급속히 이뤄지는 과정에서 한국인의 생활패턴과 위생이 급격히 변했고, 이로 인해 알레르기 질환도 꾸준히 증가했다"면서 "그러나 2009년 이후 우리도 도시화, 산업화가 어느 정도 완료단계에 접어들면서 알레르기질환 발생률이 한풀 꺾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천식과 아토피피부염의 감소세와는 달리 알레르기비염은 같은 기간 증가율이 3.2%에 달했다. 이 질환은 특히 10살 이하 소아의 증가율이 8.2%로 10세 이상의 2.1%보다 훨씬 높았다.
알레르기비염은 대기 중에 있는 꽃가루(오리나무, 삼나무 등), 먼지, 진드기류(집먼지진드기, 긴털가루진드기 등), 동물의 비듬 등이 코로 들어왔을 때 발작성 재채기나 콧물, 코막힘, 가려움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콧물, 재채기, 코막힘, 가려움증이 지속 또는 반복되거나 코감기에 자주 걸리는 사람은 알레르기비염의 가능성이 큰 만큼 정확한 진단을 받아볼 필요가 있다.
강 교수는 "아시아 등 개발도상국의 알레르기 질환은 미국 등 서구 선진국에서 발생률이 정체되거나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이후에도 한참동안 증가추세를 보여왔다"면서 "천식과 아토피피부염의 감소세가 처음으로 확인된 데 의미가 있지만 아직 알레르기비염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대기오염도 심각해지는 만큼 알레르기질환에 대해서는 여전히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알레르기비염이나 천식 환자들은 외출시 ▲ 기상청 미세먼지 예보 사이트(www.kma.go.kr/weather/asiandust/density.jsp) ▲ 기상청 꽃가루 유행 정보 사이트(www.kma.go.kr/weather/lifenindustry/life_jisu.jsp?JISU_INFO=healthdayimg_D06) ▲ 대한 소아천식알레르기 꽃가루 정보 사이트(www.pollen.or.kr) 등을 참고하면 도움이 된다.